티스토리 뷰

일본 최후의 전시내각인 스즈키 간타로 내각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던 8월 14일,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는 내각을 맡으라는 소식을 전해 받는다.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는 황족 출신으로 구니노미야 아사히코 친왕의 아들이며 히로히토에게는 고모부가 된다.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는 육군대장으로 1941년부터 방위총사령관과 군사참의관을 지냈다. 이처럼 일제의 남자 '황족'은 군인 출신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는 1910년 황족신위령(皇族身位令)에 따라 육해군의 무관(장교)로 임관해야 할 의무가 있었기 때문이다.

히가시쿠니는 전시에도 내각총리대신 하마평에 오른 적이 있었다. 1941년 10월, 제3차 고노에 후미마로 내각이 사퇴하자 후임 총리 하마평에 오른 것이다. 그러나 당시에는 히로히토의 의지에 따라, 도조 히데키를 수장으로 하는 내각이 출범했다.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는 내각을 맡아달라는 요청에 대해 거부감을 보였지만 결국 받아들인다. 참고로 보통 내각책임제 국가에서는 단독 과반을 획득한 제1당의 당수가 총리직을 맡는 것이 관례다. 그런데 당시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는 그런 위치에 있지도 않았으며, 의원 신분도 아니었다. 그런데 어떻게 그가 총리직을 맡을 수 있었을까? 당시 일본 정치의 기본구조는 메이지 헌법을 따랐다. 즉, 의원 신분이나 당수가 아니라고 해도 덴노의 명이 있으면 총리를 맡아 내각을 꾸릴 수 있었던 것이다. 이것이 당시 일본 정치의 특이한 점 중 하나인데 이를 대명강하라고 부른다.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는 1947년 신적강하를 통해 황적에서 이탈하면서 히가시쿠니라는 성을 창설[각주:1]하게 된다. 즉, 1945년 8월 당시까지는 아직 히가시쿠니노미야 나루히코가 왕(王)으로서 황족 신분에 있었으므로, 이 히가시쿠니노미야 내각은 '황족 내각'이 되는 셈이다. 이 내각은 일본 역사에서 전무후무한 황족 내각이었으며 또 최단명 내각(53일)이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히가시쿠니 내각이 공식 출범한 건 8월 17일이었다. 우선 과제중 하나는 항복이 확정된 이상 항복문서에 누가 서명할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 당초 일부 연합국에서는 히로히토가 직접 서명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결국 시게미츠 마모루 외무대신과 우메즈 요시지로 참모총장이 각각 일본 덴노/정부와 대본영을 대표해 "일본 개벽 이래 불명예인 문서에 이름을 써넣"[각주:2]게 되었다.

한편, 9월 18일 히가시쿠니는 외국인 기자들에게 일본이 직접 전범을 처벌하겠다고 밝혔다. 당시 외무대신이던 시게미츠가 전범 혐의자들을 일본 정부가 직접 재판하겠다는 뜻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에 전달했다가 거절 당한 직후였다. 실제로 1945년 9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일본 정부는 전범혐의자 8명에 대한 재판을 진행했는데, 당연하게도 훗날 이 재판은 GHQ에 의해 무효로 처리됐다.

10월 3일은 히가시쿠니 내각이 민주주의적 경향의 부활이라는 포츠담 선언의 목표를 실현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된다. 야마자키 이와오 내무대신이 "반황실선전을 하는 자들은 체포한다, 천황제 폐지를 주장하는 자는 공산주의자로 간주하고 치안유지법에 따라 체포할 것이다"라고 발언했는가하면, 이와타 추조 사법대신도 국체의 변경에 대한 운동을 엄히 단속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사실 이 내각의 역사 인식은 8월 26일의 기자 회견과 9월 4일 88회 제국의회에서 행한 '종전에 이른 개요 보고'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난 바 있었다. 침략 전쟁에 대한 반성이 아니라, 전쟁에서 이기지 못한 데(패전) 대한 반성, '성단'을 통해 평화를 준 히로히토가 그 과정에서 얼마나 괴로워했을까에 대해 1억 신민이 반성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친 것이다.

결국 문제의 발언이 있었던 다음 날인 10월 4일 오후 6시, GHQ는 일본 정부에 인권지령을 내리게 된다. 인권지령은 사상·집회·언론의 자유를 제한하는 법률의 철폐, 정치범의 석방, 내무대신·경보국장·경시총감 등을 파면하고, 특별고등경찰(특고)를 폐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었다. 결국, 이 지령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히가시쿠니 내각은 5일 총사퇴했고, 10일 시데하라 내각이 출범하게 된다. 시데하라 내각의 출범은 10월 10일이므로 히가시쿠니 내각 대신들의 각료 신분은 법적으로는 9일까지 유지되었다.

1945년 8월 17일 출범한 히가시쿠니 내각은 이렇게 막을 내렸다. 재임 기간 53일의 일본 역사상 최단명 내각이었다.

[참고문헌]

小森 陽一, 송태욱 역,『1945년 8월 15일, 천황 히로히토는 이렇게 말하였다』, 서울: 뿌리와이파리, 2004.

구태훈, 『일본역사탐구』, 서울: 태학사, 2002.

俞天任, 박윤식 역,『대본영의 참모들』, 파주: 나남, 2014.

John W. Dower, 최은석 역, 『패배를 껴안고』, 서울: 민음사, 2009.


  1. 일본의 '황족'은 성이 없고, 대신 궁호를 사용하게 된다. [본문으로]
  2. 시게미츠 마모루의 자서전의 표현 [본문으로]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알림
본 블로그는 해상도 1536×864와 엣지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Since 2008.09.15.
Total
Today
Yesterday